Boston Uncommon

특집기사

보스턴 언커먼


가장 훌륭한 브루탈리스트 Brutalist 건축물은 보스턴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하버드 대학교의 본거지인 보스턴과 인근 케임브리지에는 150개 이상의 브루탈리즘 건축물들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기하학적인 형태와 질감을 강조한 콘크리트 구조, 요새와 같은 외관이 특징인 브루탈리즘 건축은 지난 100년의 디자인 운동 중 중요한 흐름으로 보고 있습니다. 보스턴에서는 시청 건물 뿐만 아니라 병원, 도서관, 학교 등 주요 공공건물 등이 이 브루탈리즘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사실, 이 브루탈리즘은 특유의 거친 외관으로 인해 유행이 지났다는 평가를 받으며 오랫동안 사랑받지 못했습니다. 그러던 중 오버언더 건축 회사의 파트너인 크리스 그림리 Chris Grimley, 마이클 쿠보 Michael Kubo, 마크 파스닉 Mark Pasnik과 디자인 갤러리 핑크콤마 Pinkcomma 는 2009년에 브루탈리즘을 재건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브루탈리즘 건축물에 대한 대중들의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고 ‘브루탈리즘’이라는 단어에서 올 수 있는 오해를 바로잡고자 영웅적인 건축 Heroic Architecture 이라는 표현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이러한 운동에 대한 철학과 활동을 정리한 두 권의 책, 영웅적인 : 콘크리트 건축 Heroic : Concrete Architecture 과 뉴 보스턴  New Boston (Monacelli Press) 을 출간했습니다. 최근에는 영국의 건축 및 디자인 출판사인 블루 크로우 미디어 Blue Crow Media 와의 협업을 통해 미드 센트리 시대를 대표하는 50개의 건축물에 대한 책을 출간하기도 했습니다.

파스닉은 보스턴에서 1960년대에 브루탈리즘이 새로운 공공 장소, 정부 및 문화 기관 건물들의 주요 양식이 되었다고 말합니다. 뉴욕의 매디슨 애비뉴가 미드 센트리의 유리와 철제로 된 건물의 대표한다면, 콘크리트의 기념비적인 구조물들은 시민을 상징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브루탈리즘은 과거 세계의 수도를 규정했던 신고전주의 20세기 버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변화의 흐름을 보스턴으로 가져온 사람은 1961년에 보스턴 재개발 책임을 맡게 된 도시 기획가 에드워드 로그 Edward J. Logue 입니다. 그는 코네티컷 주 뉴 헤이븐 출신으로 지난 30년 동안 거의 새로운 건축물이 없었던 보스턴 시내에 브루탈리즘을 현대적으로 해석해서 담기 시작했습니다.

에드워드 로그는 새로운 보스턴을 구현하기 위해 근대주의 건축가인 I.M. 페이 Pei 와 폴 루돌프 Paul Rudolph 에게 건물을 디자인하도록 의뢰했습니다. 아키텍처 포럼 Architectural Forum 매거진은 이에 대해 1964년 특별호를 통해 알리기도 했으며, 퓰리쳐 상을 수상한 뉴욕 타임즈의 건축 평론가 아다 루이스 헉스터블 Ada Louise Huxtable 역시 이 프로젝트를 기념비적이라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오늘날 이 유서 깊은 도시는 식민 시대의 벽돌과 판자 건축으로도 유명하지만 브루탈리즘 건축은 여전히 많은 디자인 애호가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시청 건물은 보수가 한창인데, 오랜 기간동안 사용되지 않았던 입구를 다시 복구하고 있습니다. 나무를 심고, 새로운 분수를 만드는 데 6천만 달러가 투입되었습니다.

보건 복지 센터 건물은 네덜란드 출신의 아티스트 M.C. 에처 Escher 의 작품이 주는 것 같은 시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그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는 건축가 아랄도 코스타 Araldo Cossutta 가 설계한 크리스천 사이언스 센터 Christian Science Center 가 있습니다. 28층의 높은 타워에는 콜로네이드로 세운 길고 수평의 건물로 연결되어 있어 다양한 콘크리트 형태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하버드 대학의 카펜터시각예술센터는 르 코르뷔지에가 북미에서 완성한 유일한 프로젝트로, 건축가의 명확한 디자인 철학이 담겨져 있습니다.

파스닉은 이러한 브루탈리즘 건축물이 완벽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철거하는 것만이 정답은 아니라고 이야기합니다. 이 건축물들은 계속 전진하며 나아가고 있는 도시의 잠재력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브루탈리즘 건축이야말로 보스턴이 다시 태어난 순간을 반영합니다.

글: 앤드류 세사 Andrew Sessa, 사진:에즈라 스톨러  Ezra Stoller

다른 기사도 확인해 보세요.

간트 코리아